원활한 관람을 위해 저전력 모드를 해제해주세요
시각 디자인 프로젝트지도 교수 : 배민기
Visual Design ProjectAdvisor : Bae Minkee
디지털/네이처를 주제로 진행한 개별 결과물은, 파일을 생성하는 디자이너이자 오브젝트를 다듬는 정원사로서 각자 가꾸어 온 정원입니다. 각 수강생은 자기 몫의 정원을 상상하고 구성하여 제안합니다.
Each recombinant work of digital technology and nature forms part of each student’s personal garden – they are at once both content-creating designers, and gardeners who trim and curate these digital objets.
브랜드 디자인 프로젝트지도 교수 : 이장섭
Brand Design ProjectAdvisor : Lee Jangsub
변화를 위한 브랜드: 적극적으로 사회적 가치실현에 목표를 두고 있는 브랜드를 ‘목적지향형 브랜드’라고 한다. 각자의 주제탐색과정을 거쳐 하나의 브랜드기획안을 완성한다. 이를 바탕으로 브랜드의 고유한 가치를 실체화한다.
Brand for Change: Students focus on the structure of ‘Purpose-Driven Brands’, and propose a brand based on individual subject research. During the semester, students materialize their brand and its core values.
미디어 디자인 프로젝트지도 교수 : 김수정
Media Design ProjectAdvisor : Kim Suzung
본 수업은 컴퓨터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대한 것이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실험성과 현실성, 전통과 미래 등의 다양한 접점에서 각자가 관심 있는 분야를 연구하여 발표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This course focuses on applying computer technology to visual communication design. Students examine the common ground between various dichotomies: analog and digital, hardware and software, experimental and realistic.
모션 디자인 프로젝트지도 교수 : 정재은
Motion Design ProjectAdvisor : Jung Jae-eun
창의적 스토리나 사회적 이슈 등 의미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관람자가 공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표현 실험과 개성있는 제작 방법을 탐구한다. 프리-프로덕션, 촬영/애니메이션/3D 모델링을 통한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을 통해 모션그래픽의 전과정을 체득한다.
Students choose a theme, such as creative storytelling or addressing social issues, explore a number of unique experimental methods, and experience the entirety of the motion graphic production process.
제품 시스템 디자인 프로젝트지도 교수 : 정의철
Product System Design ProjectAdvisor : Jung Eui-chul
기술,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 가치를 디자인을 통해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변화의 동인을 인간으로서 ‘나’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자신의 디자인 언어를 개발한다. 그리고, 이를 제품, 인터랙션, 시스템 디자인을 통해 구체화하여 전시한다.
In response to ongoing changes in technology, culture and the environment, students propose new values for the future. Students place themselves as the driver for change, and develop their own design languages.
운송기기 디자인 프로젝트지도 교수 : 구상
Transportation Design ProjectAdvisor : Koo Sang
모든 종류의 모빌리티와 자동차, 운송기기 디자인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디자인 프로세스와 실무 내용을 이론과 실기 실습을 통해 이해한다. 미래의 교통, 운송, 이동에 관한 비전을 제시하고 고유의 컨셉을 도출하여 미래의 새로운 가능성을 디자인한다.
This course is an overview of the theoretical and formative processes required across all areas of transportation design. Students develop the forms of cars and other vehicles, and propose their visions for upcoming mobility solutions.
공간 디자인 프로젝트지도 교수 : 채정우
Space Design ProjectAdvisor : Chae Jung-woo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은 기술, 환경, 문화 등 공공성에 대한 대안을 포함해야 한다. 이 수업은 창의적이며 통합적인 문제해결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맥락에 맞는 행위 체계 프로그램, 구조와 재료를 통한 공간의 조형도출을 포함한다.
Space design must focus on the public’s engagement with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ssociations of the designed space. Students analyze a given space, and posit creative design solutions.

전시 주최 Exhibition Organizer / 전시 페르소나 Exhibition Persona : 적극적인 행동파

전시 주최 Exhibition Organizer
/ 전시 페르소나 Exhibition Persona
: 적극적인 행동파

적극적인 행동력을 가진 디자이너들이 모여 전시를 주최합니다. 서로 다른 관심사와 흥미를 가진 이들이 함께합니다. 다양한 우리들은 공통의 목표인 ‹SNU DESIGN WEEK 2020›를 성공적으로 만들어가기 위해 화합하며 적극적인 돌파를 도모합니다.
Proactive designers gather to host the exhibition. People with different interests come together. In order to successfully achieve our common objective, "SNU DESIGN WEEK 2020," we are united and actively seeking to break through.